21.04.15

PWA

  • 웹1 - 그냥 보여주기 식
  • 웹2 - 사용자와 상호작용
  • 웹3
    앱 > 웹 > 웹뷰 (하이브리드 웹) :

  • 웹뷰 : 모바일 웹의 느린걸 그대로 가게 됨. 너무 느리니까 계속 고민
  • Native 언어 : 네이티브 앱 하나를 만들면 ios android에서 지원해주겠다.
  • 모바일 앱 표준화 되었음
  • pwa 가 확장이 되었음
    (스타벅스 앱)
    sns 같은 서비스 정보 전달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앱이 막강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
    모바일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패드가 나오면서 삼중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음.
    대부분의 큰 회사 어플리케이션 큰 회사는 모바일 개발자 서버 개발자 등등 다 뽑음. 그러나 작은 회사들은 작업이 어려움
  • jQuery jQuery는 UI가 정말 안 예쁨.
    부트스트랩 템플릿이 완성되어 있음

    결국 웹임.
    MANIFEST.JSON
    이거 하나만 가지고 이게 PWA 라는 게 정의가 됨

    무조건 HTTPS 만 설치가 됨.

    중요한건 아이콘이 있어야 함.
    앱이기 때문에 OFFLINE에서 제공해줘야 함.
    알람 NOTIFY 기능이 있어야 함.

    우리가 알고 있는 환경
  • WINDOW
  • WEB
  • 서비스 워커라는 환경이 있음
    서비스 워커를 등록하여 유저 환경에서 돌아가게끔 한다.

  • 서비스 워커
    서비스 워커 제공 안하는 브라우저가 사파리?
    암튼. 그러면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면 서비스 워커가 등록이 됨.
    앱도 설치 됨.
    서비스 워커의 핵심.
    오프라인에서 어떻게 할 거냐.
    (크롬, 네트워크에서 오프라인 설정해서 시험해볼 수 있음)
    서비스 워커라는게 캐시를 사용하는 것이다.
    오프라인이 되면 캐시에서 가져옴.

  • 무조건 있어야 하는 파일과
  • 네트워크가 있을 때 필요한 파일을 나눔.

    fetch 부분에서 네트워크 통신하는 부분을 구현

    반응형으로 만드는 방법
    css 네임중에
    @media
    앱을 설치하고 싶을 때
    웹에 올리면 알아서 설치가 가능함.

    그리고 개괄적으로는 반응형이 디자이너가 가능하게 된 것이고
    개발자는 비지니스로직만 구현하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