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 사이트 리뷰]
1. 2015년도
구글 맵에서 쓰면서.. 05년도 ajax 부활됨.
..
자바스크립트 엔진 v8 엔진이 만들어짐
..
핵심은 모듈화
export, import 를 쓰기 시작함
vuejs, nodejs 에서 많이 씀
import를 쓰는 것도 있고, require 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게 서버사이드, 브라우저 사이드에서 약간 다르다 정도는 알기를..
2. 2016년도
ECMAscript6 가 2015년에 발표되었음
[포이마웹] (https://poiemaweb.com/)
여기도 보면 좋음
ES6의 모듈문법이 CommonJS의 콘셉트와 유사하다.
promise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ie 빼고 지원한다.
근데 async,await는 지원 안하는 애들이 조금 있음.
그러므로 promise는 제일 많이 쓰고 있다.
그 외..
지수 연산
그리고..
webassembly
컴파일 안하고 쓰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니까
어셈블러를 쓰겠다는 건데.. 뭔소린지..
jQuery는 여전히 아직도
많이 쓸 수 밖에 없음.
jQuery의 가장 큰 이점 부트스트랩 쓸 수 있다는 것.
데스크탑 프로그램으로
일렉트론이 나왔음.
윈폼 개발보다 조금 어려움. c# 문법과도 많이 다름
3. 2017년
async await 개념이 이슈가 여전히 되었음
requireJS define/require..
ecma6 import/ export 이렇게 되었다가 다 없어지고 import export만 남았음
클래스
자바스크립트는 무조건 단일스레드임!
여러개를 넣어놓고 다중 처리를 하면 좋다.
Devops를 통해서 nodejs < > c#의 차이..
모바일 브라우저부터 es6의 지원이 많이 되었음.
리액트 일렉트론이 있었다..
표준화 작업이 점점 빨라졌음…
라이브러리들은?
이당시 jQuery가 최고였음.
jQuery는 1,2,3 버전이 있는데 이걸제일 많이 씀.
90% 이상은 jQuery를 쓴다.
angularjs -> angular
react가 나옴
vanilla js?
그냥 우리가 알고 있는 javascript임.
무분별한 라이브러리 남발하게되면서 무거워짐.
그래서 순수한 js만 쓰자는 말이 나왔음.
뭐 잘 알면 하면 되지.
브라우저 밖의 js
npm, bower 설치해서 쓰는 거임.
번들러
바벨, 웹팩
nodejs가
어마어마하게 발전했음.
nodejs 만을 쓰면 별 메리트가 없지만
devops를 쓰는 nodejs라고 하면 엄청난 메리트가 있다고 함.
devops라는 거는 개발자가 오퍼레이팅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모바일 개발 위주로 했다가, 너무 퍼포먼스가 떨어지니까..
지원하는 것들이 다 달라짐.
점점 빨리..
그러다 보니 더 편하게 개발할 수 있고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hybrid 앱을 원했음
이게 react native가 되었음.
결국 더 빠른 개발을 위한 언어임.
4. 2018년
promise 라는 개념을 알면 되고
폴리필로 promise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대부분 지원한다고 보면 된다.
sharedArrayBuffer 자바스크립트가 엄청난 메모리 낭비를 하게 되어서 나온 기술
promise finally 추가 예정
뷰가 생김
뷰를 쓰는 이유는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하기에
그럼에도 jQuery는 여전히 많이 써왔다.
nodejs의 안정성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을만큼 발전되어 왔음.
없어졌다 바뀌었다. 이 것의 방법
그래서 진영을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진입장벽이 낮은쪽 먼저 들어가보는 것도 좋다. 그래서 vue
PWA
순수 HTML 자체가 앱이 됨.
5. 2019년
TypeScript 가 발전이 많이 되었음
ECMA2019에서… 특징 많이 추가 되었지만…
머 잘 안씀.
라이브러리
- 앵귤러
- 뷰
- 리액트
삼파전
뷰의 생태계 환경의 확장 쓸만해짐..
앵귤러 -> 구글
리액트 -> 페이스 북
이 업체가 망하지 않은 이상 계속 지원
VUE는 그런 업체가 없음.
그럼에도 잘 살아남고 있음
TypeScript ms에서 어마어마하게 밀어붙이고 있음
번들러
부동의 1위 웹팩
PWA의 가장 큰 장점
스타벅스의 앱이 pwa로 만들어짐.
어마어마 발전
200mb 가 되는 앱이 1mb밖에 안나옴.
인도, 중국 네트워크 딸리는 쪽에서 강세를 발생
pwa가 강점이 될 듯.
6. 2020년
자바스크립트의 동향. 한계 대두.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리액트 강세
앵귤러 새로운 버전
그리고 뷰js
3.0이 발표되며 바뀜.
안봐도 된다. 2.0 버전만 보면 됨.
svelete 라는 애가 나왔는데 갑자기 신성으로 대두됨.